티스토리 뷰
Tistory Google Analytics 연동
구글 애널리틱스 (Google Analytics, GA)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웹분석 서비스이다. 웹 분석은 웹사이트 이용 현황을 이해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웹 데이터를 측정, 수집, 분석 및 보고 하는 것을 말하며 여러 이벤트, 스크롤수, 해당 페이지에 얼마나 머물렀는지 등의 다양한 분석을 제공한다.
Google이 Urchin이라는 웹 분석 회사를 인수 한 후 2005 년 11 월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iOS, Andoird 모바일 앱에서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SDK를 제공하고 있다.
제공하는 기능으로는 다음과 같다.
-
보고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
데이터 활성화
-
통합
연동
먼저 Tistory와 구글 애널리틱스를 연동하기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한다. 물론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해야한다.
측정 시간 버튼을 눌러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을 시작한다.
계정 설정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계정 이름을 기입한다. 구글 ID와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속성 설정에서도 계정 설정과 마찬가지로 속성 이름을 기입하며 원하는 이름으로 기입하면 된다.
시간대는 대한민국으로 되어 있지 않으며 변경해야한다.
비즈니즈 정보에서는 카테고리, 규모, 계획을 선택한 후 만들기를 종료한다.
3가지 설정을 마치고 나면 서비스 약관 계약 팝업이 뜨며 체크후 동의함 버튼을 클릭한다.
여기 까지가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단계였다. 이제부터 Tistory와 연동을 해보도록 한다.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설정을 시작한다. Tistory와 연동이 목적이므로 웹을 선택한다. 테스트해보진 않았지만 개인이 만든 서버에 대해서도 웹을 선택한 후 설정을 하면 될 듯하다.
Tistory URL, 스트림 이름 작성한다.
여기서 주의 사항으로는 연동하고자하는 웹이 http인지 https인지 잘 확인해야 한다.
스트림 만들기가 완료되면 측정 ID를 생성해 보여준다.
다른 사이트에서는 이 측정 ID만 Tistory의 Google Analytics 플러그인에 넣으면 연동이 된다고 나오지만, 해본 결과 태그하기에 대한 안내부분의 관제 사이트 태그(gtag.js)를 Tistory html에 넣어 주어야 연동 되어 정상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이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연동을 위한 준비는 끝낫다.
자신의 Tistory 블로그 관리 페이지로 이동하여 플러그인을 선택한다.
여러 플러그인 중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을 선택한다.
추적 ID에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생성한 추적ID를 기입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한다.
그 후 gtag.js를 넣기 위해 스킨 편집을 클릭한다.
우측 html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head 태그 바로 밑에 구글 애널리틱스의 gtag.js를 복사해 붙여 넣는다.
이제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하여 연동이 되었는지 확인하면 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 배우는 스프링 부트 2 리뷰 (0) | 2018.11.19 |
---|---|
이더리움 미스트 설치 (0) | 2018.03.12 |
gitlab 설치 (0) | 2018.03.12 |
윈도우 다중 원격접속 (0) | 2018.03.12 |
grafana tutorial (0) | 2018.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