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ElephantSQL
소개할 ElephantSQL은 여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중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의 호스팅 서비스이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팅 서비스는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같은 물리적 장치에 있는 것이 아닌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분리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좀 더 간략히 말하면 데이터베이스만을 사용하는 서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팅을 사용하게 되면 여러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 호스팅에 연결되어 동작한다.
이러한 호스팅을 제공하는 많은 회사가 존재하며 그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호스팅 회사들은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동시 허용 접속 수 등을 관리하며 사용자들에게 관리비를 받는다고 알고 있다.
ElephantSQL 또한 마찬가지이며 가격 정책은 ElephnatSQL 가격 정책 에서 확인하면 된다.
ElephantSQL은 20MB의 저장공간과 동시허용 접속수 5명(Tiny Turtle정책)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 간단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수 있다.
ElephantSQL 기능
ElephantSQL은 여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소개할 Tiny Turtle정책은 위 표에서 Shared Plan에 속해 있으며 이메일, 백업, 데이터베이스상태, 브라우저, slow queries만 제공한다.
사용법
먼저 ElephantSQL에 접속한 뒤 로그인을 한 뒤 오른쪽 상단의 초록색 버튼인 Create New Instance를 클릭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설정 페이지가 나온다.
이 설정 페이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이름, 가격 정책,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름과 가격 정책만 뒤 넘어가도 상관없다. 입력을 마친후 Select Region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지역과 데이터 센터를 선택하는 곳이 나오며 한국과 가까운 홍콩이나 도쿄를 선택하였다. Review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이 페이지는 앞에서 선택한 가격 정책에 대해서 확인하는 페이지로 무료인것을 확인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그럼 Instances의 목록이 나오는 페이지로 넘어가게 되며 첫번째 설정 페이지에서 지정한 이름의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가 하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인스턴스 들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상세 정보 (접속 주소, 계정, 기본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 가 나오며 이 정보를 가지고 자신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도구로 접속하여 사용하면 된다.
왼쪽에 있는 도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Alarms, Log, Admin Integrations 기능은 앞에서 설명 했듯이 Tiny Turtle정책으로는 사용할수 없으며 나머지 기능들은 사용가능하다.
Browers 같은 경우 해당 페이지에서 쿼리를 직접 작성할 수 있고, STATS는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통계, 어느곳에서 연결했는지 등을 확인가능하다. SLOW QUERIES는 시스템에서 느리게 실행중인 쿼리를 식별하게 하며, Backup은 다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백업하는 기능이다.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C 메커니즘 (0) | 2018.07.26 |
---|---|
MongoDB 사용법 (0) | 2018.03.12 |